Web Programming

1바이트로 한글 하나를 얻고 2바이트씩 묶어서 표현해야하는데 ISO-8859 에서 쓰는 톰켓에서는 한바이트씩 보기떄문에 ? 표로 나온다. UTF-8방식인 인코딩일시 – 한글은 저장하거나 보낼때는 출력도구를 통해서 내가 앞으로 출력할 도구는 UTF-8이구나 라고 정상적인 바이트로 데이터를 전달하게 된다. response.setCharacterEncoding("UTF-8"); // utf-8를 쓰기 위해서 보내고 response.set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 클라이언트에 전달되서 브라우저가 UTF-8로 읽어라 text/html 은 html 문서라는 것을 나타낸다.
Annotation을 이용한 URL 매핑 Web.xml 과 에너테이션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web.xml 에서 metadata-complete 를 false 로 설정해야한다. @ 어노테이션이 각자 분업화된 내용들을 처리할수 있기 때문에 훨씬더 깔끔하게 협업을 할수있다.
/ 매핑 WEB-INF 에 web.xml 를 넣는다. 경로리를 지정해준다. /hello 만 쳐도 com.newlecture.web.Nana 까지 나오게 해준다. ( 패키지명 까지 적어줘야 한다 . ) 큰 수정 복잡 없이 바로바로 실행하여 결과를 나타낼수있다.
서블릿코드 를 작성하고 컴파일하고 실행하는데 많은 단계가 필요했고 도구를 사용하는데 불편했다 이제 쉽게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이 있는데 자바를 이용하여 할때는 이클립스 EE 를 사용한다. 코드수정 – 컴파일 – 배포 – 톰캣서버재시작 – 브라우저요청을 했었는데 도구를 사용하면 한번에 해결 한다. 이러한 과정을 이클립스에서 ctrl+F11 를 통해서 한번에 해결한다. 다음에는 서블릿 파일을 작성해보겠습니다.
웹 이 담당하는 것은 UI 인데 콘솔UI , 윈도우 UI 가 있다. 웹이라는 것은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다가 출력결과를 보여준다. PrintStream out = new PrintStream(OS,true); HttpServletRequest , HttpServletResponse 문자열을 출력할때는 PrintStream 으로 받는다.
Web.xml 에 Hello 라는 이름으로 요청하고 톰켓이 왔을 때 해당하는 서블릿 클래스를 찾아서 실행해준다. 이런설정을 하고 클래스 파일을 두면 사용자 요청으로 톰켓을 실행해서 결과를 돌려준다. 작성한 클래스 Nana.txt를 WEB-INF 에 복붙한다. 웹 인포는 외부에서 요청할 수 있는 디렉터리가 아니다. 그래서 WEB-INF에서 Nana.txt를 지우고 Web.xml를 편집하여 매핑 정보를 넣는다. Nana 는 패키지명도 있으면 패키지명.클래스명 까지 적어줘야 한다. 만약 Nana클래스가 있으면 urp-pattern 에 hello가 오면 서블릿네임 na를 실행하는데 이 서블릿은 위에 na를 의미하고 클래스 Nana를 해당한다. 즉 , Nana를 /hello로 url를 매핑시킨것이다. 밑에는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