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이 담당하는 것은 UI 인데 콘솔UI , 윈도우 UI 가 있다. 웹이라는 것은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다가 출력결과를 보여준다. PrintStream out = new PrintStream(OS,true); HttpServletRequest , HttpServletResponse 문자열을 출력할때는 PrintStream 으로 받는다.
Web.xml 에 Hello 라는 이름으로 요청하고 톰켓이 왔을 때 해당하는 서블릿 클래스를 찾아서 실행해준다. 이런설정을 하고 클래스 파일을 두면 사용자 요청으로 톰켓을 실행해서 결과를 돌려준다. 작성한 클래스 Nana.txt를 WEB-INF 에 복붙한다. 웹 인포는 외부에서 요청할 수 있는 디렉터리가 아니다. 그래서 WEB-INF에서 Nana.txt를 지우고 Web.xml를 편집하여 매핑 정보를 넣는다. Nana 는 패키지명도 있으면 패키지명.클래스명 까지 적어줘야 한다. 만약 Nana클래스가 있으면 urp-pattern 에 hello가 오면 서블릿네임 na를 실행하는데 이 서블릿은 위에 na를 의미하고 클래스 Nana를 해당한다. 즉 , Nana를 /hello로 url를 매핑시킨것이다. 밑에는 사용..
Servlet 프로그램 만들기 서블릿이란? 서버어플리케이션을 만드는 것 기능별로 코드가 나뉘어져있고 코드에따라 선택하여 실행 메모장 Nana.txt 작성 Cannot find symbol 이 나오는데 import javax.servlet.*; 는 기본적으로 jdk 가 지원하지않는 라이브러리 니까 javac 할때 할 때 옵션 등이 나오는데 그중 --class-path , -cp 라는 옵션이 있는데 cp를 이용해 서블릿 라이브러리를 사용해보자 톰켓 파일에 lib – servlet-api.jar를 이용해서 컴파일한다. 다음시간에는 Servlet 객체 생성과 실행하는 방법을 배울것이다.
Context 란? 사이트가 만들떄 규모가 커지면 파일수가 많아질거고 디렉토리 수가 많아진다. 예를 들면 네이버, 다음을 보면 한팀이 만든게 아니라 분업을 해서 만들었을것이다. 문맥은 같이 유지하면서 나눠서 만드는게 어떨까? 부동산 it 이런것들을 하나로 만들기 위해서 블록 하나를 뺴버리고 중심 큰틀을 만들고 각각의 내용들은 아에 떄서 맏겨서 완전히 별개 사이트를 만들어서 문맥을 유지한다. 서비스 유지를 유지한다. 가상 경로 또는 가상사이트 라고 하는데 context 이다. 물리적으로 두개 사이트 이지만 합쳐서 디렉토리에 사용되는것처럼 같이 서비스가 돌아가게 끔 context 사이트 라고 한다. 마치 돌아가는게 하나인것처럼 보인다. Server.xml 에서 ITWeb과 ROOT 두개가 돌아가게 설정한다...
톰켓 = WAS WAS에다가 자바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사용하는 기능이 추가 웹 서버 라면 웹문서를 제공해주는 서비스 웹문서를 어떤식으로 제공해주는지 이해 홈데이렉토리 에다가 문서를 두면 원격에 있는 집장 브라우저에서 달라고 하면 주소를 쳐서 가져온다. 컴퓨터가 할당받은 아이피를 핸드폰으로 접속해도 나오게 된다. 윈도우 + R 키를 눌러서 실행창에서 메모장을 연다 안녕하세요 제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저장 -> 톰켓 압축을 푼 것 -> webapps -> ROOT -> 홈디렉토리가 나온다 여기다가 저장 휴대폰으로 접속하는 방법
1. 환경변수에서 JAVA_HOME 이란 녀석이 환경변수 등록을 해줘야 한다. JDK- 2. JDK – 자바홈에 톰켓은 JDK가 어디에 설치되어있는지 알아야 하는데 사람들이 아무곳에 설치하니 모르니 JAVA_HOME 을 약속을 해줘야 한다. 등록된 디렉토리 를 확인할수있다. 다른 톰켓이 이미 동작중이면 다른 서비스가 돌리고 잇어서 이미 톰켓이 동작하고 있으면 포트번호가 충돌되면 동작이 안될수있다 포트번호가 충돌되는 프로그램이 사용중인지 확인해 바야 한다. 방화벽을 허용한다. Startup 이 뜨면 재대로 동작하는것이다. Localhost:8090 을 치면 아파치톰켓 사이트가 나오게 된다.